
우리가 스마트폰, 노트북, 전기차, 심지어 보조배터리까지 사용할 때 흔히 접하는 숫자들, “10,000mAh”, “56Wh”… 도대체 이게 무슨 의미일까요? 배터리 용량 단위 변환하기, mAh와 Wh, kWh 쉽게 이해, 비행기 반입기준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Contents
배터리 용량 단위는 왜 여러 가지일까?
배터리는 전기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장치입니다. 그런데 이 배터리의 ‘용량’을 표시할 때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다른 단위가 사용됩니다.
단위 | 의미 | 주로 사용되는 기기 |
---|---|---|
mAh (밀리암페어시) | 전류량 x 시간 (mA x h) | 휴대폰, 보조배터리 |
Wh (와트시) | 전압 x 전류 x 시간 (V x A x h) | 노트북, 항공 운송 기준 |
kWh (킬로와트시) | 1000Wh = 1kWh | 전기차, 전기요금 고지서 |
- 📌 쉽게 정리하면:
- mAh: 배터리에 들어 있는 전기 양을 나타냄 (용량)
- Wh: 실제로 쓸 수 있는 에너지량
- kWh: 대용량 기기나 전기요금 단위에서 사용
mAh, Wh, kWh 단위 변환 공식
단위 간 변환을 위해 꼭 기억해야 할 공식이 있습니다.
mAh → Wh 변환
Wh = (mAh × V) ÷ 1000
- mAh: 배터리 표기 용량
- V: 전압 (제품마다 다름)
- 1000으로 나누는 이유: mAh를 Ah(암페어시)로 바꾸기 위해
Wh → mAh 변환
mAh = (Wh × 1000) ÷ V
이 공식을 알고 있으면, 비행기 반입 기준이 Wh 단위일 때, 내가 가진 보조배터리가 허용 용량인지 직접 계산할 수 있어요.
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1. 10,000mAh 보조배터리 (전압 3.7V 기준)
Wh = (10,000 × 3.7) ÷ 1000 = 37Wh
📌 100Wh 미만이라서 비행기 기내 반입 OK!
2. 노트북 배터리 용량이 56Wh → mAh로 변환 (전압 11.4V)
mAh = (56 × 1000) ÷ 11.4 ≈ 4912mAh
노트북은 Wh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, 전압을 안다면 mAh로도 쉽게 계산 가능해요.
비행기 탈 때 배터리 반입 기준은?
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와 우리나라 항공사들은 안전을 위해 배터리 용량 제한을 두고 있어요.
배터리 용량 | 기내 반입 | 위탁 수하물 | 설명 |
≤ 100Wh | 가능 | 불가 | 대부분 보조배터리, 스마트폰 |
100~160Wh | 가능 (항공사 승인 필요) | 불가 | 일부 고성능 노트북, 드론 |
> 160Wh | 불가 | 불가 | 전동킥보드, 산업용 배터리 |
✅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100Wh 이하지만, 20,000mAh 이상 대용량 제품은 꼭 확인 필요!
실생활 제품별 배터리 용량 비교
제품 | mAh | 전압 | 계산된 Wh | 비행기 반입 여부 |
스마트폰 | 5,000mAh | 3.7V | 18.5Wh | 가능 |
보조배터리 | 10,000mAh | 3.7V | 37Wh | 가능 |
고용량 보조배터리 | 26,800mAh | 3.7V | 99.2Wh | 가능 (경계치) |
노트북 | – | – | 56Wh | 가능 |
드론 배터리 | – | – | 120Wh | 가능 (항공사 승인 필요) |
전기자전거/킥보드 | – | – | 200~500Wh | 불가 |
Wh 확인하는 방법

- 배터리 표면의 라벨 확인
- 대부분 “3.7V / 10,000mAh / 37Wh”처럼 표시
- 제조사 홈페이지 or 제품 설명서 확인
- 직접 계산: mAh와 전압이 있다면 공식을 이용해 계산
kWh는 어디에 쓰일까?
kWh (킬로와트시)는 대용량 배터리나 전기요금 계산에 사용됩니다.
예시:
- 전기차: 64kWh (한 번 충전으로 약 400km 주행)
- 가정 전기요금: 월 350kWh 사용 → 약 6~8만 원 요금
즉, 1kWh = 1000Wh = 1,000,000mAh(3.7V 기준일 경우)이니 어마어마한 용량이죠.
배터리 용량 단위 정리
- mAh: 배터리 용량을 쉽게 표시한 단위 (보조배터리, 스마트폰)
- Wh: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단위 (비행기 반입 기준, 노트북)
- kWh: 대형 배터리나 전기요금 등 고용량 기준 (전기차, 전기요금)
- 공식:
- Wh = (mAh × V) ÷ 1000
- mAh = (Wh × 1000) ÷ V
- 비행기 탈 때는 반드시 Wh 확인
이제는 보조배터리나 전기기기를 살 때, 숫자가 의미하는 바가 훨씬 명확해졌을 거예요. 특히 해외여행 시 보조배터리 반입 제한을 계산할 수 있다는 건 큰 장점이죠.
배터리 용량 단위는 어렵지 않아요. 숫자 속 의미만 정확히 이해하면 실생활에 훨씬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어요!
필요하다면 배터리 관련 안전수칙, 제품별 추천 배터리 용량, 전기차 충전량 계산법 등도 이어서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🙂