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태풍은 매년 여름철에 한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 중 하나입니다. 2025년에도 어김없이 태풍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으며, 사전에 정보를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2025년 태풍 활동정보, 실시간 태풍 위치 알아내는 방법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Contents
실시간 태풍 위치 확인 방법
1. 기상청 날씨누리 이용하기
기상청 날씨누리는 대한민국 공식 기상정보 플랫폼입니다.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며, 태풍의 현재 위치, 예상 경로, 중심기압, 풍속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.
- 이용 방법:
- 기상청 날씨누리 접속
- 상단 메뉴에서 “태풍” 클릭
- 최신 태풍 목록 확인 및 상세 정보 클릭
- 태풍 이동 경로, 위성영상, 예상 진로도 확인 가능
- 장점: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만큼 정보의 정확도가 높고, 한글로 제공되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음
2. Earth Nullschool 활용하기
Earth Nullschool는 전 세계 기상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사이트입니다. 인터랙티브한 방식으로 바람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, 태풍의 형성 위치와 진행 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 이용 방법:
- earth.nullschool.net 접속
- 바람(Wind) 설정 → 지면(Surface) 선택
- 태풍 의심 지역으로 지도 이동 및 확대
- 활용 팁: 태풍이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면 보통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먼저 포착됩니다.

3. Windy.com으로 정밀 확인
Windy.com은 다양한 기상 요소(바람, 비, 파도, 구름 등)를 시각화해서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.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입니다.
- 이용 방법:
- windy.com 접속
- 좌측에서 바람, 기온, 강수 등 항목 선택
- 하단의 시간 바를 움직이며 태풍 이동 시뮬레이션 가능
- 장점: 시뮬레이션 기능이 뛰어나고, 애니메이션 방식으로 날씨 변화 예측이 가능
2025년 태풍 활동 및 기상 이슈 전망
1. 태풍 발생 전망
2025년 여름 태풍 수는 평균적으로 북서태평양에서 20-25개의 태풍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, 이 중 약 3-5개가 한반도에 직접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주요 영향 시기: 7월 중순~9월 초 사이에 집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
- 해수면 온도와 연관성: 현재 동아시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 태풍이 더 강하게 발달할 가능성 있음
2. 2025년 장마 및 강수량 예측
중부지방 장마 기간은 6월 25일 ~ 7월 26일로 예상됩니다.
- 총 강수량: 예년보다 많을 것으로 보이며,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 동반 폭우가 빈번할 가능성 있음
- 주의사항: 산사태, 침수 피해, 하천 범람 가능성이 커져 실시간 기상 정보 확인이 필수
3. 엘니뇨/라니냐 여부

- ENSO 상태: 2025년에는 ‘중립(Normal)’ 상태가 이어질 확률이 약 70%로 예보됨
- 의미: 강한 엘니뇨 또는 라니냐가 없기 때문에 큰 기후 이상은 없을 가능성이 있지만, 평년보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 태풍이 강력해질 수 있음
태풍 정보 이해를 위한 꿀팁
- 태풍 이름은 아시아 태풍위원회 14개국이 제출한 이름을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.
- 태풍의 강도는 중심기압, 최대풍속, 강풍 반경 등으로 판단합니다.
- 태풍의 진로는 해수 온도, 제트기류, 고기압 세력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태풍은 매년 반복되지만, 그 피해는 예측과 대비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실시간 위치를 수시로 확인하고, 사전에 대비책을 세워 안전한 여름철을 보내시기 바랍니다. 다음과 같은 웹사이트를 즐겨찾기 해두시면 유용합니다.
- 기상청 날씨누리
- Earth Nullschool
- Windy.com